popup zone

PUB2001 정책학개론 Introduction to Policy Science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정책학의 학문적 성향 및 일반적인 원리를 고찰하고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평가 등 정책학에 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정책체계에 대한 종합적 시각 및 접근방법을 습득하여 실제로 정책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정책학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연계시키는 토대를 형성한다.
Empirical and normative foundations of systematic policy science; concepts, theories, models, issues, strengths, limitations, and uses and misuses in the policy process.
PUB2005 정책형성론 Policy Formation
정책형성 과정과 모형, 조직형태 등 정책결정과 행정가에게 작용하는 환경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정책형성에서 선택된 문제들을 다룬다.
This course explores the impact of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on public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It uses intensive analysis, normative, and decision making models of the policy proces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ir relationship with current policy problems.
PUB2006 행정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Public Administration
정책형성 과정과 모형, 조직형태 등 정책결정과 행정가에게 작용하는 환경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정책형성에서 선택된 문제들을 다룬다.
This course covers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tific method; logical forms of problem analysis; deductive logic; especially, basic logical forms and fallacies; theory construction and hypothesis formulatio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PUB2008 조직관리론 Organization and Management
본 강의는 행정학에서 조직관리론이차지하는 압도적인 비중을 감안하여 폭넓게 조직이론과 행정관리에 관한 이론을 종합정리 한다. 나아가 조직이론과 행정관리이론의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전통적 이론과 함께 새로운 이론의 정립 또한 중요한 바, 본 강의를 통하여 현대조직관리의 새로운 관점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데 강의의 중점을 둔다.
Analysis of organization theory in public organizations; current issues in organization theory; decision-making,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e changing nature of organizations in a post-industrial society.
PUB2009 국정관리와 행정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이 강의는 현대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행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기본 목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행정의 개념과 행정가치, 행정학의 배경 및 주요이론 등 행정학의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현대사회에서의 행정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세계화, 지방분권, 복지, 전자정부, 지속가능한 성장 등의 주제와 연결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introduce students to government and policy, to the basics of policy administration, and to the substance of some of today’s major policy debates.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focuses on foundational material in public administration. We will begin by examining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ving laid this foundation, we will then examine several theoretical approaches to studying public administration. The second half turns to a variety of contemporary topics related both to theory and practice in public administration, while paying attention to current debates in globalization, local autonomy, welfare, E-government, and sustainable growth.
PUB4005 복지행정론 Welfare Administration
이 강의는 오늘날 공공성의 중요성 및 공공부문의 역할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된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적 영역과 구분되는 공적 영역의 고유한 철학과 그 운영방식을 살펴보고, 한국의 공공부문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거버넌스 패러다임이 국가-시장-시민사회 관계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course is designed to acquaint students with key concept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o publicness and governance. 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ublic values and to examine the public sector of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Students will also be asked to understand how the mechanisms of governance influence the changing nature of government, including the reordering of relationships between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in terms of a variety of disciplinary approaches.
PUB4012 정책평가론 Policy Evaluation
정책평가의 개념, 정책평가의 유형, 정책평가의 이론과 기법 등에 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정책평가의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정책을 평가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연계를 도모하여 한국 정책과정상의 평가와 관련된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 meaning of policy evaluation, the models of policy evaluation, theories, uses of policy evaluation, etc.
PUB4016 행정계량분석 Quantative Methods for Administrative
행정학의 연구와 행정관리에 필요한 통계이론의 이해와 그 응용능력의 배양에 중점을 둔다. 주요 내용은 표본과 표본의 분포, 구간추정과 조작적 표본설계, 통계적 가설검증, 회귀분석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기초이론, Dummy변수와 분산분석 등이다.
Theories & knowledge needed to further study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management will be dealt with. How to use that knowledge is covered, too.
PUB4019 행정이론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기존 행정학의 제이론 중 주요 논쟁 테마들을 선정하여 집중 연구, 분석, 토론함으로써 행정학 연구의 총정리를 시도함과 동시에 그동안 각론부분으로 강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행정학 관련분야들을 종합정리함으로써 한국행정의 현주소와 행정학의 미래를 조망해보는 데 기본 목표가 있다.
From the former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we will take controversial themes, concentrate on their research, analyze and discuss which in forth will help in organizing all the previous studies. The future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are the major subjects of this course
PUB4023 공공서비스론 Public Service
정부활동의 핵심 산출인 공공서비스의 생산 및 공급 방식, 공공서비스의 품질관리기법, 공공서비스의 혁신 전략 등을 검토한다.
Public services is a term usually used to mean services provided by government to its citizens, either directly (through the public sector) or by financing private provision of services. The term is associated with a social consensus (usually expressed through democratic elections) that certain services should be available to all, regardless of income. Even where public services are neither publicly provided nor publicly financed, for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they are usually subject to regulation going beyond that applying to most economic sectors. Public services is also a course that can be studied at college and/or university. These courses can lead entry in to the: police, ambulance and fire services.
PUB4025 시장과 정부, 그리고 네트워크 Market, Government and Network
거버넌스로서의 행정이라는 관점에서 정부, 시방, 네트워크 등 대안적 거버넌스 모델과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각 대안적 거버넌스 모델의 관리 전략 등을 소개한다.
The course understand alternative governance models of interaction in respect to administration as governance and introduce alternative governance models of administrative strategy.
PUB4030 한국정부와 행정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in Korea
지난 55년 동안 10번의 정부교체를 통해 변화/발전한 한국 행정의 특성을 ‘정부’라는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정부에 관한 주요 이론을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의 한국정부와 그 행정활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행정현상에 대한 분석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students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government,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Korea.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analytical ability to critically examine public administration.
PUB4035 인사행정론 Personel Administration
현대 인사행정의 발전과 인사행정에 관한 개념 및 일반이론을 학습하는 한편 한국 및 주요국의 현행 인사행정 제도의 제 특성을 이해시킨다. 특히 인사제도의 유형, 직위분류제, 임용, 교육훈련, 근무성적평정, 보수체계 연금, 사기, 공무원의 행동규범 및 윤리, 공무원 신분보장 등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한국 인사행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본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principle legislative and judicial background, and currently significant practice in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he public service. It covers the roles of recruitment selection, wage and salary administration, emplyee development, manpower planning and other personnel functions.
PUB4036 국제개발과 비교행정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mparative Administration
국제개발협력의 관점에서 비교행정의 이론과 접근방법들을 소개하고 주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행정체계를 한국의 행정체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에의 시사점을 탐색한다. 비교행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다른 국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행정의 발전에 주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이를 습득하도록 한다. 비교행정의 개념과 접근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각국의 행정제도와 행태 등을 체계적 분석적인 관점에서 숙지하여 종합적 사고 능력을 배양한다. 비교행정과 관련된 시사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주제별 토론 및 발표를 통해 미래지향적이고 전략적인 사고를 함양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comparative administration theories and approaches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us by comparing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major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Korea. To understand the overall flow of comparative administration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dministr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Understand the concepts and approaches of comparative administration, and learn the administrative systems and behaviors of each country from a systematic and analytical point of view. Future-oriented and strategic thinking will be fostered throug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based on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comparative administration.
PUB4037 복지전달체계와 현장참여 Welfare Delivery System and Field Participation
복지서비스가 국민에게 전달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복지서비스 전달의 현장에 참여하여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비교를 통해 복지전달체계와 집행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의 습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introduce students to key theories and tools with which to understand how social welfare services are implemented and delivered at the local level. After gaining familiarity with a range of welfare delivery issues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students will be given an opportunity to engage in field participation that allows them to practice working in a team.
PUB4038 정책기획과 분석 Policy Planning and Analysis
사회현상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정책도 보다 체계적인 분석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미래대처를 위한 기획의 필요성을 파악한 후, 정책기획 및 분석에 관한 기초지식과 방법론을 습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특정 사례분석을 통한 실제 정책 기획안의 작성훈련을 도모하고자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acquaint students with the field of public planning and analysis, to overview key concepts in public policy analysis, and to develop skills in policy methods. The main goals of this course are to understand the rationale for government intervention,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policy analysis, and to become familiar with various public planning through case studies.
PUB4039 행정학연습 Administrative practice
공공정책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여 실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정책학의 다양한 지식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문제중심의 수업으로 다양한 분야의 사회문제를 조별 활동을 통하여 문헌조사, 정책분석기법 활용, 정책보고서 작성 등의 활동을 하여 실제 공공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공리더십과 사회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public policy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apply various knowledge of politics to reality. The course will focus on problem-based social problems through group activities, using literature analysis, policy analysis techniques, and preparing policy reports. This course aims to develop public leader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at can act in the public sector.
PUB4040 공공기관론 Government Enterprise
공공기관의 발달배경 및 원인, 특징, 지도관리 등의 이론을 검토하며 특히, 공공기관이 국가발전에 미친 영향, 조직, 인사, 재무관리, 공공기관의 통제 등과 이에 따르는 특정문제들을 고찰하여 공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본다.
Economic, polit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business-government relationship in theory and practice; antitrust, public utility and other equalization, consumer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onditions of employment; effective business response-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PUB4041 행정과 PSAT Public Administration and PSAT
공무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과 소양, 자질 등을 갖추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인 공직적격성평가(PSAT)를 구성하고 있는 3개 영역의 특징을 확인하도록 한다.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영역의 문제를 중심으로 연습을 통해 효과적인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한다.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that constitute the Public Qualification Assessment (PSAT), which i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basic knowledge, literacy, and qualifications required for public service. This course focuses on the problems of language logic, data interpretation, and situation judgment.
PUB4042 지방자치와 도시행정 Local Administration
지방자치의 개념, 역사적 발전, 조직, 인사, 기획, 중앙통제, 지역개발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며 특히, 재정 기반이 약한 한국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영과 관련된 정책과정을 자치단체의 자율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문제들을 다룬다. 또한, 현대도시의 성장과 인구집중, 대도시 기능과 행정구역문제, 수도권의 광영행정기구 등의 제반문제를 분석.고찰하고자 한다.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local governments for smooth local administration, the Local Administration Bureau carries out various measures: promoting decentralization, designing an ideal local administration system, improving the existing local administration system, positively promoting municipal mergers, developing a network system for Basic Resident Registers, encouraging regional revitalization, promoting the regional IT revolution, promoting regional internationalization, and establishing and improving the local public service personnel system. Urban administration is a synthetic study that covers most social studies to manage complicated cities. Urban administration is wider than public administration. As a city develops, citizen’s demand becomes more complicated.
PUB4043 국가재정과 재무관리 Financial Administration
재무행정의 일반이론 특히 재무행정조직, 예산의 개념, 기능, 원칙, 종류, 분류 그리고 정부 회계, 구매조달, 지방재정 및 정부와 기업의 관계 등을 연구함으로써 재무행정전반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한다. 또한 예산의 편성, 심의, 집행 및 결산 등 예산절차와 예산과 재정정책과의 연계 등 특수문제를 다룬다.
In this course, students learn about the fiscal role of the government in a mixed economy, sources of public revenue and credit; administrativ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budget and the budgetary process; problems and trends in intergovernmental financial relations.
PUB4044 ICT혁명과 전자정부 ICT revolution and e-government
민간부문의 정보체계인 경영정보체계(MIS)와는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는 행정정보체계(PMIS)에 관한 각종 이론을 살펴봄과 동시에 공공부문이 갖는 특징과 관련하여 전자정부가 나아갈 이론적 방향을 제시하며, 이와 관련된 정책을 고찰한다.
PMIS FOCUSES ON THE KEY PROCESSES FACED BY MANAGERS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CLUDING PLANNING, PURCHASING, TRAINING AND LEARNING, POLITICS, ACCOUNTABILITY, ETHICS, BEST PRACTICES, AND EVALUATION
PUB4045 정부규제론 Government Regulation
이 과목은 외부성과 불완전한 정보 등으로 발생하는 시장실패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규제의 세 분야 즉, 독과점규제, 산업규제, 그리고 사회적 규제를 다루며, 최근 주요한 이슈인 규제개혁의 맥락과 방향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three areas of government regulation: monopoly regulation, industrial regulation, and social regulation to address market failures caused by externalities and incomplete information. It also examines the context and direction of regulatory reform, a major issue in recent years .
PUB4046 공공성과 거버넌스 Publicness and Governance
이 강의는 오늘날 공공성의 중요성 및 공공부문의 역할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된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적 영역과 구분되는 공적 영역의 고유한 철학과 그 운영방식을 살펴보고, 한국의 공공부문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거버넌스 패러다임이 국가-시장-시민사회 관계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course is designed to acquaint students with key concept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o publicness and governance. 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ublic values and to examine the public sector of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Students will also be asked to understand how the mechanisms of governance influence the changing nature of government, including the reordering of relationships between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in terms of a variety of disciplinary approaches.
PUB4047 정책사례연구 Case Study in Public Policy
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과정과 관련하여 국내외의 중요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검토하여 실제적 정책분석(Policy Analysis)에 대한 접근방법, 이론모형 수립에 초점을 두고 정책과학의 이론들을 습득한다.
This course reviews the form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Admistration, and analyz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It lays emphasis on policy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theory models.
  현장실습 Internship
본 교과목은 산업현장 적응력 및 창의력을 지닌 인재 양성과 재학생의 원활한 사회진출을 목적으로, 교과과정을 통해 습득한 전공지식을 산업체에서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며 산업체에서의 현장실습(인턴십)에 대한 학점을 인정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curriculum in industry, and to provide credits for internships in industry.